어진은 생소한 이름일 수도 있지만 왕의 초상화라는 말입니다.
그러니 어진 박물관은 왕의 초상화 박물관이라고 생각을 하시면 되는 곳입니다.
어진 박물관은 태조어진 전주봉안 600주년을 맞이하여 2010년 11월에 개관을 하였다고 합니다.
이 곳은 태조어진을 비롯하여 태조어진을 봉안할 때
사용된 각종 가마 유물 및 경기전 관련 유물들이 전시가 되어 있다고 있습니다.
총 5개의 전시실이 있는데 어진실 1에는 태조어진, 일월오봉도, 용선, 봉선이 있으며
어진실 2에는 세종, 영조, 정조, 철종 , 고정, 순종 어진이 있습니다.
역사실은 태조어진의 역사와 경기전의 운영, 관리조직 제례 및 건축 관련 유물 등이 있으며
가마실은 가마 유물 및 태조어진 봉안 행렬이 있습니다.
기획 전시실은 조선왕실 및 전주 관련 특별 전시공간 이렇게 총 5개의 전시실이 있습니다.
입장료는 어른 3천 원 청소년, 대학생, 군인은 2천 원, 어린이는 1천 원이며
같이 가신분이 입장료를 받기 전에는 사람들도 많이 있었는데 입장료를 받은 다음부터는 들어오는
사람이 많이 줄었다고 그리고 관리는 더 잘되는 거 같다고 말씀을 해주셨습니다.
조경묘
조경묘를 만들기 전까지는 조선왕실의 시조를 모시는 사당이 없었다고 하며 전주 이씨의 시조인
이한과 그 부인의 위패를 모신 사당입니다. 이한은 신라 때 높은 벼슬을 지냈고, 그 부인은 경주 김씨이다.
조선을 세운 태조 이성계는 이한의 21대 후손이며, 조경묘는 조선 영조 47년(1771)년에 세워졌으며,
영조가 세손인 정조로 하여금 쓰도록 하였으며 이한과 그 부인의 위패를 봉안했다고 하며,
철종 5년(1854년)에 경기전과 함께 보수해 오늘날의 모습을 갖췄다고 합니다.
어진박물관 안으로 들어오니 먼저 반겨주는 건 태조 이성계의 어진입니다.
어진은 왕의 초상화를 말을 하며 태조어진은 조선의 건국자의 초상이라는 점에서
조선왕조를 상징을 한다고 합니다.
지금 현재 남아 있는 건 어진박물관에 있는 태조어진이 아닌 바로 옆에 위치를 하고 있는
경기전에 있는 어진이 유일하게 남아 있다고 합니다.
어진 옆에 있는 왕의 상징인 일월오봉도 하고 용선, 봉선이 전시가 되어 있으며,
일월오봉도는 해는 왕 달은 왕비 그리고 다섯 개의 산으로 그림이 그려져 있습니다.
조선왕조는 건국 후 태조어진을 한양을 비롯하여 고구려의 수도인 평양, 신라의 수도인 경주,
고려의 수도이자 태조가 살았던 개성, 태조의 출생지 영흥,
태조의 본향인 전주 등 모두 6곳에 봉안이 되었다고 합니다.
'국내여행 > 2016.07 전주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동양의 건축물과 서양의 건축물의 공존하는 전주전동성당 (0) | 2016.10.03 |
---|---|
태조 이성계의 어진이 있는 전주 경기전 (0) | 2016.09.26 |
조선의 왕을 만날 수 있는 전주 어진박물관 (0) | 2016.09.19 |
전주 한옥마을을 한 눈에 볼 수 있는 카페 전망 (0) | 2016.09.12 |
골목골목 아름다운 전주 한옥마을 (0) | 2016.09.05 |
연꽃 향기가 가득 있는 전주 덕진공원 (0) | 2016.08.29 |